Growing Pain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rowing Pains''는 메리 J. 블라이즈의 8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7년 12월 18일 발매되었다. 블라이즈는 앨범 제목에 대해 그래미 시상식에서의 성공 이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앨범의 리드 싱글 "Just Fine"은 빌보드 핫 100에서 22위를 기록했으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상업적으로는 발매 첫 주에 빌보드 200 차트 2위로 데뷔하여 이후 1위로 올라섰으며, 영국에서도 6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펀 레코드 음반 - G N' R Lies
《G N' R Lies》는 건즈 앤 로지스가 1986년 EP와 1988년 신곡을 묶어 1988년에 발표한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지만, 수록곡 "One in a Million"은 논란을 일으켰다. - 게펀 레코드 음반 - Use Your Illusion II
Use Your Illusion II는 건즈 앤 로지스가 1991년에 발매한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와 실험적인 사운드를 담아내며 상업적인 성공과 함께 "Civil War", "Knockin' on Heaven's Door", "You Could Be Mine" 등의 대표곡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언론과의 갈등, 가사에 대한 논란 등 다양한 이슈를 낳으며 한국 사회 대중음악계와 젊은 세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2007년 음반 - Elly Is so HOT
Elly Is so HOT은 2005년 서인영이 발매한 첫 번째 정규 앨범으로, 타이틀곡 "HIT"를 포함하여 총 12곡이 수록되었으며, "HIT"와 "너를 원해"는 리믹스 버전으로도 수록되었다. - 2007년 음반 - The Breeze Of Sea
박효신의 5집 앨범 《The Breeze Of Sea》는 "추억은 사랑을 닮아"를 타이틀곡으로 총 17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박효신이 작사, 작곡에 적극 참여하고 린, 진보라, 최아롬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Growing Pain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Growing Pains |
종류 | 스튜디오 |
가수 | 메리 J. 블라이지 |
발매일 | 2007년 12월 18일 |
녹음 기간 | 2006년–2007년 |
장르 | 컨템퍼러리 R&B |
길이 | 64분 53초 |
레이블 | 게펜 레코드 |
프로듀서 | Dejion 브라이언-마이클 콕스 드레 & 비달 론 "네프-유" 핌스터 숀 가렛 찰스 하모니 에릭 허드슨 니요 더 넵튠스 자즈 파 스타게이트 사이언스 트리키 스튜어트 |
이전 음반 | The Breakthrough |
이전 음반 발매일 | 2005년 |
다음 음반 | Stronger with Each Tear |
다음 음반 발매일 | 2009년 |
싱글 | |
싱글 1 | Just Fine |
싱글 1 발매일 | 2007년 10월 16일 |
싱글 2 | Work That |
싱글 2 발매일 | 2007년 12월 18일 |
싱글 3 | Stay Down |
싱글 3 발매일 | 2008년 3월 18일 |
2. 배경
블라이즈는 블루스 & 소울과의 인터뷰에서 앨범 제목 ''Growing Pains''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3]
Just Fine은 2007년 10월 2일에 발매된 앨범의 리드 싱글이다. 이 곡은 앨범에서 여러 형식으로 발매된 유일한 싱글이었다. 빌보드 핫 100에서 22위, 미국 핫 R&B/힙합 송 차트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영국 공식 차트에서는 16위를 기록했다.
''Growing Pains''는 대부분의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 메타크리틱에서는 17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평균 77점을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
''Growing Pains''는 첫 주에 629,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위로 데뷔했고,[18] R&B 차트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두 번째 주에는 204,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로 올라섰다.[19] 2009년 12월까지 이 앨범은 미국에서 160만 장이 팔렸다.[20]
''Growing Pains''는 스탠다드 에디션 외에도 아이튠즈, 영국, 일본 등에서 각기 다른 보너스 트랙을 포함한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Blige영어는 작년에 그래미 시상식에서 엄청난 하루를 보낸 직후에 이 앨범을 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래서 자신의 팬들에게 '이 획기적인 성과를 어떻게 유지해야 할까? 내가 더 나은 곳에 있다는 것을 어떻게 계속 상기시켜야 할까?'라는 마음속의 모든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계속 머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성장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Blige영어는 세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삶에서 불편한 일이 생기면 예전으로 돌아가거나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그 긴장을 고통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그래서 이 앨범의 밝고 행복한 노래들은 자신의 성장을 축하하고 있으며, 덜 대중적이고 어두운 트랙들은 자신이 벗어나야 하는 곳들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제목은 성장과 더불어 어떤 것이든 발전하려면 그 뒤에 어떤 종류의 긴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3. 싱글
Work That은 2007년 12월 18일에 앨범의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앨범 발매와 함께 디지털 다운로드로 차트에 진입했으며, 빌보드 핫 100에서 65위, 핫 R&B/힙합 송 차트에서는 20위 안에 들었다.
Hurt Again이 ''Growing Pains''의 세 번째 싱글로 예정되었으나, 마지막에 Stay Down으로 변경되었다. "Stay Down"은 앨범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싱글에서 모멘텀을 잃었고 홍보 부족으로 인해 빌보드 핫 100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고, 빌보드 핫 R&B/힙합 싱글 차트에서 14위에 머물렀다.
4. 평가
평가 점수 올뮤직 [34] The A.V. Club B+[35] MSN Music (Consumer Guide) A–[36] The Guardian [37] The Independent [38] NME 7/10[39] PopMatters 8/10[40] Rolling Stone Slant Magazine [41] USA Today [42]
올뮤직의 마리사 브라운은 "잘 만들어진 곡들의 성숙하고 세련되고 완벽하게 전문적인 세트"라고 칭찬하며, "이 앨범은 팝 음악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갔다"고 평가했다.[8] ''가디언''의 알렉스 맥퍼슨은 블라이즈의 "과거와 현재"라는 주제를 칭찬했다.[9] ''NME''는 "블라이즈가 더 쾌활한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평했다.[10] ''팝매터스''의 마이클 아르세노는 앨범에서 블라이즈의 "쾌활한 태도"를 칭찬했다.[5] ''USA 투데이''의 에드나 군데르센은 "그녀의 취약함과 가창력은 부인할 수 없다"고 썼다.[6] ''A.V. 클럽''의 스티븐 하이든은 블라이즈가 "개인적인 삶의 상대적인 안정성을 넘어 [...] 공감해 온 [...] 페르소나를 강조했다"고 칭찬했다.[11] BBC 온라인의 탈리아 크라인스는 블라이즈의 "힘을 실어주는 감정"을 칭찬했다.[12]
하지만, ''인디펜던트''의 앤디 길은 "블라이즈가 R&B 클리셰에 굴복한 것"을 비판했다.[13] ''슬랜트 매거진''의 에릭 헨더슨은 "블라이즈의 [...] 감정성을 억누르고 있어 긴장은 있지만 해소는 없다"고 썼다.[14] ''빌리지 보이스''의 알프레드 소토는 "그녀의 연기 실력이 줄어들면서, 그녀의 [...] 컨템포 r&b에 대한 지휘력이 향상된다"고 평가했다.[15] MSN 뮤직에서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앨범을 "가장 인기 있는 현재 R&B 브랜드의 [...] 샘플러"라고 묘사하며 A- 평점을 주었다.[17]
5. 상업적 성과
영국에서는 2001년 ''No More Drama'' 이후 가장 높은 순위인 6위로 차트에 진입했으며, 첫 주 판매량은 21,755장이었다. 독일에서는 48위로 정점을 찍으며 독일 음반 차트에 단 3주 동안 머물러 그녀의 최악의 차트 기록을 냈다.[21] 2010년 3월 27일 기준으로 이 앨범은 영국에서 81,681장 이상 판매되었다.[22]
6. 곡 목록
6. 1. 스탠다드 에디션
# |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길이 |
---|---|---|---|---|
1 | Work That | 3:30 | ||
2 | Grown Woman (피처링 루다크리스) | 4:05 | ||
3 | Just Fine | 4:02 | ||
4 | Feel Like a Woman | 4:02 | ||
5 | Stay Down | 4:22 | ||
6 | Hurt Again | 4:07 | ||
7 | Shake Down (피처링 어셔) | 3:36 | ||
8 | Till the Morning | 퍼렐 윌리엄스 | The Neptunes | 4:17 |
9 | Roses | 4:35 | ||
10 | Fade Away | 4:15 | ||
11 | What Love Is | 4:03 | ||
12 | Work in Progress (Growing Pains) | 4:00 | ||
13 | Talk to Me | 4:09 | ||
14 | If You Love Me? | 3:39 | ||
15 | Smoke | 3:10 | ||
16 | Come to Me (Peace) | 5:01 |
- "Talk to Me"는 로버트 라이트와 버딘 화이트가 쓰고 The Emotions가 공연한 "Key to My Heart"의 샘플을 포함하고 있다.
6. 2. 영국 및 일본 에디션
''Growing Pains'' – 영국 및 일본 에디션[23]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길이 |
---|---|---|---|---|
9 | "Nowhere Fast" (보너스 트랙) | 메리 J. 블리지, 테리어스 내시, 크리스토퍼 스튜어트, 팰런 알렉산더 | 스튜어트, 파, 쿡 해럴[24] | 3:46 |
10 | "Roses" | 메리 J. 블리지, 테리어스 내시, 크리스토퍼 스튜어트 | 스튜어트, 해럴[24] | 4:35 |
11 | "Fade Away" | 메리 J. 블리지, 샤퍼 스미스, 미켈 S. 에릭슨, 토르 에릭 헤르만센 | 스타게이트, 니요[24] | 4:15 |
12 | "What Love Is" | 메리 J. 블리지, 샤퍼 스미스, 미켈 S. 에릭슨, 토르 에릭 헤르만센 | 스타게이트, 니요[24] | 4:03 |
13 | "Work in Progress (Growing Pains)" | 샤퍼 스미스, 찰스 하먼 | 하모니, 니요[24] | 4:00 |
14 | "Talk to Me" | 메리 J. 블리지, 존타 오스틴, 에릭 허드슨, 로버트 라이트, 버딘 화이트 | 허드슨 | 4:09 |
15 | "If You Love Me?" | 메리 J. 블리지, 존타 오스틴, 브라이언-마이클 콕스 | 콕스 | 3:39 |
16 | "Smoke" | 샤퍼 스미스, 레지 페리 | 사이언스, 니요[24] | 3:10 |
17 | "Come to Me (Peace)" | 메리 J. 블리지, 테리어스 내시, 쿡 해럴, 크리스토퍼 스튜어트 | 스튜어트, 해럴[24] | 5:01 |
18 | "Hello It's Me" (보너스 트랙) | 토드 런드그렌 | 마크 론슨 | 4:07 |
19 | "Mirror" (피처링 이브) (보너스 트랙) | 메리 J. 블리지, 테리어스 내시, 크리스토퍼 스튜어트, 쿡 해럴, 이브 제퍼스 | 스튜어트, 해럴[24] | 3:54 |
총 재생 시간: | 76:34 |
''Growing Pains'' – 일본 보너스 트랙[24]
6. 3. 일본 보너스 트랙
Growing Pains영어 일본 에디션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Sleep Walkin'"이 추가되었다.[24] 이 곡은 메리 J. 블리지와 크리스토퍼 스튜어트가 작곡했으며, 스튜어트와 쿡 해럴이 프로듀싱을 맡았다.
6. 4. 아이튠즈 에디션 보너스 트랙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비고 |
---|---|---|---|
"Nowhere Fast" | [23] | 브룩 린 피처링 | |
"Hello It's Me" | 토드 런드그렌 | 마크 론슨 | |
"Mirror" | [23] | 이브 피처링 | |
"Just Fine" | [23] | 릴 마마 피처링 리믹스 |
6. 5. 아이튠즈 영국 에디션 보너스 트랙
# | 제목 | 작곡가 | 프로듀서 | 길이 |
---|---|---|---|---|
17 | "Nowhere Fast" (피처링 브룩 린) | 3:46 | ||
18 | "Hello It's Me" | 토드 런드그렌 | 마크 론슨 | 4:07 |
19 | "Mirror" (피처링 이브) | 3:54 | ||
20 | "Just Fine" (모토 블랑코 Vox 리믹스) | 모토 블랑코 | 3:46 |
7. 참여진
이름 | 역할 |
---|---|
주디 아코스타-스튜어트 | 프로덕션 코디네이션 |
닉 반스 | 어시스턴트 |
리 블라스케 | 스트링 |
메리 J. 블라이즈 | 총괄 프로듀서 |
제시 본드 | 기타 |
앙드레 보우먼 | 베이스 |
드루 카스트로 | 엔지니어 |
대니 청 "스템스" | 보컬 엔지니어 |
앤드루 콜먼 | 엔지니어 |
브라이언-마이클 콕스 | 뮤지션, 프로듀서 |
비달 데이비스 | 프로듀서 |
패트릭 딜렛 | 보컬 엔지니어 |
The-Dream | 보컬 |
듀안 더거 | 혼 |
미켈 스토르레어 에릭슨 | 엔지니어 |
론 페어 | 스트링 편곡, 스트링 지휘 |
테론 "네프 U" 핌스터 | 뮤지션, 프로듀서 |
드류 피츠제럴드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브라이언 "빅 배스" 가드너 | 마스터링 |
숀 가렛 | 프로듀서, 보컬 |
척 하모니 | 엔지니어, 뮤지션, 프로듀서 |
쿡 하렐 | 보컬 엔지니어, 보컬 프로듀서 |
앙드레 해리스 | 프로듀서 |
마이크 호그 | 어시스턴트 |
커티스 허드슨 | 엔지니어 |
에릭 허드슨 | 엔지니어, 뮤지션, 프로듀서 |
켄두 아이작스 | 매니지먼트, 보컬 엔지니어 |
제이센 조슈아 | 믹싱 |
재지 파 | 드럼 프로그래밍, 키보드, 프로듀서 |
킴 킴블 | 헤어 스타일리스트 |
제임스 킹 | 혼 |
마르쿠스 클링코 | 사진 |
안드레아 리버만 | 스타일리스트 |
데지온 매디슨 | 프로듀서 |
니요 | 프로듀서 |
넵튠스 | 프로듀서 |
알렉 뉴웰 | 엔지니어 |
크리스 "TEK" 오라이언 | 엔지니어 |
데이브 펜사도 | 믹싱 |
오마르 필립스 | 퍼커션 |
저스틴 핀타르 | 어시스턴트 |
하예 프라이스 | 혼 |
오마르 레이나 | 어시스턴트 |
크리스토퍼 "트리키" 스튜어트 | 드럼 프로그래밍, 키보드, 믹싱 감독, 프로듀서 |
수파 엔지니어 "듀로" | 믹싱 |
샘 토마스 | 엔지니어 |
팻 쓰럴 | 오버더빙 엔지니어, 후반 제작 엔지니어 |
코리 윌리엄스 | 엔지니어 |
앤드루 웝퍼 | 어시스턴트 |
8. 차트
Growing Pains영어는 여러 음악 차트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주간 차트에서는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노르웨이, 스코틀랜드, 스웨덴, 스위스, 대만, 영국, 미국 등 여러 국가의 앨범 차트에 진입했다. 특히, 스웨덴, 스위스, 영국 앨범 차트에서는 6위를 기록했고, 영국 R&B 앨범 차트와 미국 빌보드 200, 빌보드 R&B/힙합 앨범 차트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26][27][28][29] 연말 차트에서는 미국 빌보드 200에서 12위, 톱 R&B/힙합 앨범에서 3위를 기록했다.[30][31]